맨위로가기

시구르드 흐링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구르드 흐링그는 북유럽 전설에 등장하는 인물로, 덴마크와 스웨덴의 왕으로 묘사되며, 바이킹 시대의 영웅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하랄드 힐디톤을 물리치고 왕국을 통치했으며, 다양한 사가에서 그의 행적과 가계가 다르게 묘사된다. 시구르드 흐링그는 덴마크 왕위 쟁탈전과 연관되어 있으며, 그의 역사적 기원과 브라벨리르 전투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비아인의 신화적 왕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 스비아인의 신화적 왕 - 사고코눙가르
    사고코눙가르는 스웨덴의 전설적인 왕조들에 대한 문서로, 윙글링 왕조, 이바르 비드파드미 왕조, 문쇠 왕조의 계보와 역사성 논란을 다루며, 한국의 시각에서 스웨덴 왕조의 역사를 조명하고 한국의 역사와 비교 분석한다.
  • 기트인의 왕 - 위글라프
    위글라프는 서사시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인물로, 베오울프와 함께 드래곤과 싸우고 베오울프의 유언에 따라 왕위를 계승하는 충성심과 용기의 상징이다.
  • 기트인의 왕 - 잉에 1세 (스웨덴)
    스텡킬 왕조 출신인 잉에 1세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이교 의식 집행을 거부하다 추방되었으나 블로트 스벤을 살해하고 왕위를 되찾았고, 노르웨이와의 분쟁을 해결한 후 사망하여 필리프에게 왕위를 계승했다.
  • 8세기 유럽의 군주 - 카롤루스 대제
    카롤루스 대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 프랑크 왕국을 통치하며 서유럽 대부분을 통합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800년에 서로마 황제로 대관된 인물이다.
  • 8세기 유럽의 군주 - 오파 (머시아)
    오파는 8세기에 머시아 왕국을 통치하며 잉글랜드 중부 지역을 통합하고, 켄트와 서식스를 정복하는 등 앵글로색슨 7왕국 시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오파의 제방 건설, 화폐 제도 개혁, 카롤루스 대제와 외교 관계를 맺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다 796년에 사망했다.
시구르드 흐링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스비아인의 왕, 데인인의 왕
재위8세기?
전임자하랄드 힐디톤 (전설)
후임자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스웨덴과 덴마크에서, 전설)
배우자알프힐드 간달프스도티르
자녀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아버지란드베르 또는 잉길드
어머니오사 하랄스도티르 또는 하랄드 힐디톤의 자매
종교고대 노르드 종교

2. 역사적 배경

시구르드 흐링그에 대한 이야기는 대부분 12세기에서 13세기에 쓰여졌지만, 그 배경은 8세기경 스칸디나비아이다. 이 시기는 바이킹 시대의 초기 단계로, 스칸디나비아 부족 사회가 점차 중앙 집권화된 왕국으로 발전해 나가던 시기였다.

브레멘의 아담의 교회 연대기(c. 1075)에 따르면, '링'이라는 이름은 바이킹 시대 스웨덴 왕실 가문에서 나타나며, 10세기 전반에 스웨덴의 링이라는 통치자가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한다.[27]

2. 1. 역사적 기원 논쟁

시구르드 흐링그의 전설은 812년 헴밍 왕이 사망한 후, 그의 형제 또는 사촌인 시그프리두스와 아눌로 사이에 벌어진 왕위 쟁탈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9] 아눌로는 이전 국왕 하랄드의 조카 또는 손자였다. 이들은 왕위를 두고 전투를 벌였으나 둘 다 사망했다.[19] 중세 문헌에서는 시그프리드와 시구르드의 이름이 자주 혼동되었다. 아눌로의 이름은 고대 노르드어 Ánleifr 또는 Áli를 나타낼 수 있지만, 중세 스칸디나비아 연대기 작가들은 이를 반지(ring)를 의미하는 라틴어 "annulus"로 오해했다.[20]

브레멘의 아담의 연대기(c. 1075)는 9세기 역사적 사건에 대한 지식을 제공했는데, 삭소 그라마티쿠스와 일부 다른 중세 왕 목록 편집자들은 시그프리드/시구르드와 아눌로/링의 이름을 하나의 인물로 결합했다.[21] 그들의 역사적 후계자인 라그그레드 (재위 812–813)는 삭소에 의해 시구르드 링의 아들로 여겨지는 바이킹 지도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혼동된다.[21] 따라서 초기 바이킹 시대 덴마크 왕들의 목록은 부분적으로 고중세의 구성물이다.[22]

이러한 배경 때문에 812년의 왕위 다툼이 시구르드 링과 하랄드 와르투스의 조카가 싸운 전설적인 브라벨리르 전투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3] 다른 학자들은 통치자의 원래 이름이 링이었고, 그가 스웨덴의 역사적인 왕이었으며, 8세기에 덴마크 또는 동예테 군대와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24] 반면, 전투 자체를 신화적이거나 전설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학자들도 있다.[25] 현대 스웨덴 역사가들은 고중세 사가 문헌의 정보로부터 연대기를 확립하는 것에 회의적이며, 시구르드 링 또는 브라벨리르 전투의 역사성에 대한 논의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26]

브레멘의 아담의 교회 연대기(c. 1075)에 따르면, 링이라는 이름은 바이킹 시대 스웨덴 왕실에서 나타나는데, 10세기 전반에 스웨덴의 링이라는 통치자가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7]

3. 주요 사가 속 시구르드 흐링그

시구르드 흐링그는 여러 북유럽 사가에 등장하며, 각 사가마다 그의 이야기는 조금씩 다르게 묘사된다. 주요 사가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 발다르의 아들 란드베르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고 하랄드 힐디톤이 데인인의 왕이 되었을 때, 란드베르의 아들인 시구르드 흐링그가 스비아인의 왕위를 계승했다. 시구르드 흐링그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하랄드 힐디톤을 물리치고 스비아인과 데인인을 모두 다스리는 왕이 되었다.

  • '''고대의 어떤 왕들에 대한 사가''': 시구르드 흐링그는 하랄드 힐디톤의 조카로 등장하며, 하랄드가 늙자 그에게 스웨덴베스테르예틀란드를 다스리게 했다.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삼촌을 죽이고 덴마크 왕위까지 차지했다.

  • '''스쿌둥 일족의 사가''': 시구르드 흐링그는 알프헤임의 알프 왕의 딸 알프힐드와 결혼하여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낳았다. 알프힐드가 죽은 후, 시구르드는 스키링그살에서 벤델 왕 알프의 딸 알프솔에게 반하지만, 그녀의 오라비들의 반대로 결혼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 '''데인인의 사적''': 시구르드 흐링그는 데인인의 왕 란드베르의 아들이자 하랄드 힐디톤의 모계 조카로 등장하며,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외삼촌을 이기고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

  • '''그 외 사가들''': 시구르드 흐링그에 대한 언급은 간략하게 나타난다. 《흐베르수 노레그르 비그그디스트》에서는 그를 란드베르의 아들이자 하랄드 와르토스의 이복형제로 묘사하고, 《헤임스크링글라》에서는 하랄드 하르파그레가 시구르드 링그와 그의 아들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시대의 영토를 언급하는 내용이 나온다.

3. 1.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 따르면 발다르가 죽었을 때 그 아들 란드베르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고, 하랄드 힐디톤이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 하랄드는 조부 이바르 비드파드미가 다스렸던 땅을 모두 정복했다. 란드베르가 죽자 그의 아들인 시구르드 흐링그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었는데, 하랄드에게 칭신하는 종속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구르드 흐링그와 하랄드 힐디톤은 외스테르예틀란드의 벌판에서 브라벨리르 전투를 벌였고, 이 전투에서 하랄드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죽었다.[5] 이 승리로 시구르드는 스비아인과 데인인을 모두 다스리는 왕이 되었고, 통합 왕위는 아들 라그나르 로드브로크가 계승했다. 하랄드 힐디톤의 아들 에위스테인 벨리는 야를로서 스웨덴 땅을 다스리다가 나중에 라그나르의 아들들에게 살해되었다.[5]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이긴 뒤 하랄드 힐디톤의 시체를 화장하는 시구르드 흐링그. (1921년 그림)

3. 2. 고대의 어떤 왕들에 대한 사가

고대의 어떤 왕들에 대한 사가에 따르면 시구르드 흐링그는 하랄드 힐디톤의 조카이다. 란드베르와 하랄드의 어머니는 아우드 인 듀푸드가이며 그녀의 남편은 가르다리키의 라드바르드였다. 하랄드 힐디톤이 늙자 시구르드 흐링그에게 스웨덴베스테르예틀란드를 다스리라고 넘겨주었다.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삼촌을 죽이고 덴마크 왕위까지 손에 넣었다. 시구르드는 한 여전사에게 덴마크를 다스리게 했다.[5]

시구르드는 알프헤임의 왕 알프(Alf)의 딸 알프힐드(Alfhild)와 결혼했고 그 사이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낳았다.[7]

시구르드가 노쇠하자 변방 지역들이 이탈하기 시작했고, 잉글랜드를 잃었다. 어느 날 시구르드는 베스테르예틀란드에서 처남매부지간인 간달프(Gandalf)의 아들들의 방문을 받았다. 간달프의 아들들은 시구르드에게 노르웨이의 베스트폴의 왕 에위스테인을 공격하는 데 함께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베스트폴의 스키링그살에서 성대한 블로트(노르드인의 인신공양 의식)가 열렸다. 이후 더 이상의 내용은 보존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스쿌둥 일족의 사가가 이 내용들의 원본인 것으로 보이며, 해당 사가를 살펴보면 뒷이야기도 나와 있다.[7]

3. 3. 스쿌둥 일족의 사가

시구르드 흐링그는 알프헤임의 알프 왕의 딸 알프힐드와 결혼했고 슬하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낳았다.[10] 알프힐드가 죽자, 시구르드 흐링그는 스키링그살로 가서 성대한 블로트에 참여했다.[10] 거기서 벤델 왕 알프의 딸인 알프솔이라는 아름다운 여자를 발견했다.[10] 그러나 알프솔의 두 오라비는 시구르드와의 결혼을 반대했다.[10] 시구르드는 그들과 싸워 이겼지만, 알프솔이 오라비들에게 독살당해 그녀를 얻지 못했다.[10] 시구르드는 알프솔 남매의 시체를 커다란 배에 실어 불을 붙여 바다로 내보냈다.[10]

라그나르 로드브로크가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지만, 스웨덴은 에위스테인 벨리가 종속왕으로서 다스렸다. 에위스테인은 나중에 라그나르의 아들들에게 살해당했다.[10]

3. 4. 데인인의 사적

삭소 그라마티쿠스데인인의 사적 제7권에 따르면 시구르드 흐링그는 데인인의 왕 란드베르의 아들이었고 데인인의 왕 하랄드 힐디톤의 모계 조카였다.[5]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외삼촌 하랄드에게 승리하여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5] 이후 제9권에서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로 언급된다.[5]

3. 5. 그 외 사가들

시구르드 흐링그는 《노르웨이의 건국》, 《헤임스크링글라》,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가》, 《라그나르소나 사트르》, 《보사 사가 오크 헤라우드》, 《레트렌세 연대기》, 《그림스 사가 로딘키나》, 《오르바르-오드의 사가》, 《노르나-게스트의 사트르》 등 다양한 사가에서 언급된다.

  • 《흐베르수 노레그르 비그그디스트》에 따르면, 시구르드 흐링그는 란드베르의 아들이자 하랄드 와르토스의 이복형제이다. 란드베르는 라드바르드르의 아들이고, 하랄드는 흐레레크 슬뢍반바우기의 아들이다.[3]

  • 《헤임스크링글라》의 일부인 《하랄드 하르파그레 사가》에서 하랄드 하르파그레는 스웨덴 왕 에리크 에이문드손이 스웨덴을 서쪽으로 확장하여 시구르드 링그와 그의 아들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시대와 같은 영토를 갖게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여기에는 로메리케, 베스트폴에서 그렌마르까지, 그리고 빙굴마르크가 포함되었다.[14]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가》에는 시구르드 링그와 하랄드 와르토스가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싸웠고 하랄드가 전사했다는 언급이 있다. 전투 후 시구르드 링그는 덴마크의 왕이었고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였다.[15]

  • 《라그나르소나 사트르》는 링그가 스웨덴과 덴마크의 왕이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였다고만 언급한다.[16]

  • 《보사 사가 오크 헤라우드》에서는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인 시구르드 링그가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하랄드 와르토스와 싸웠고 하랄드가 죽었다고만 언급한다. 또한 시구르드 링그에 대한 사가가 있었지만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덧붙인다.[17]

  • 《레트렌세 연대기》에 따르면, 하랄드 와르토스는 지중해까지 모든 나라로부터 공물을 받았다. 그러나 그가 스웨덴에 공물을 요구하러 갔을 때 스웨덴 왕 링그가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그를 만났고, 하랄드는 패배하고 죽었다. 링그는 방패 여전사를 덴마크의 통치자로 만들었다 (위의 《노크눔 포른콘눙검에 관한 소구브로트》 참조).[3]

  • 《그림스 사가 로딘키나》와 《오르바르-오드의 사가》의 젊은 버전은 하랄드 와르토스와의 브라벨리르 전투와 관련된 몇 줄에서만 시구르드 링그를 언급한다.[3]

  • 《노르나-게스트의 사트르》에는 간달프의 아들인 그의 사위가 기유쿵, 군나르, 그리고 회그네에게 공물을 요구하기 위해 보냈을 때 시구르드 링그는 매우 늙었다고 한다. 이는 즉시 거부되었다. 간달프의 아들들은 시구르드 링그에게 기유쿵과 그들의 유명한 동맹인 시구르드 파프니스바니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시구르드 링그는 황폐화된 쿠로니아인과 케니르에 맞서 싸우느라 바빠서 직접 도울 수 없었다.[14] 전투는 홀슈타인에서 벌어졌지만 노르웨이 군대의 패배로 이어졌는데, 이는 시구르드 파니스바니가 노르웨이 챔피언 스타르카드를 공황 상태로 달아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18]

4. 브라벨리르 전투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 따르면 발다르가 죽었을 때 그 아들 란드베르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고 하랄드 힐디톤이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5] 하랄드는 조부 이바르 비드파드미가 다스렸던 땅을 모두 정복했다. 란드베르가 죽자 그의 아들 시구르드 흐링그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었는데, 하랄드에게 칭신하는 종속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구르드 흐링그와 하랄드 힐디톤은 외스테르예틀란드의 벌판에서 브라벨리르 전투를 벌였고, 이 전투에서 하랄드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죽었다.[5] 이 승리로 시구르드는 스비아인과 데인인을 모두 다스리는 왕이 되었고, 통합 왕국은 아들 라그나르 로드브로크가 계승했다.

고대의 어떤 왕들에 대한 사가에서는 시구르드 흐링그가 하랄드 힐디톤의 조카라고 언급한다.[6] 하랄드 힐디톤이 늙어 노쇠하자 시구르드 흐링그에게 스웨덴베스테르예틀란드를 다스리라고 넘겨주었다.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삼촌을 죽이고 덴마크 왕위까지 손에 넣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데인인의 사적 제7권에 따르면 시구르드 흐링그는 데인인의 왕 란드베르의 아들이었고 데인인의 왕 하랄드 힐디톤의 모계 조카였다.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외삼촌 하랄드에게 승리했고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11]

4. 1. 전투의 배경

Sögubrot af nokkrum fornkonungum|고대의 어떤 왕들에 대한 사가non와 Hervarar saga|헤르보르의 사가non에 따르면, 브라벨리르 전투는 복잡한 왕위 계승 문제와 영토 분쟁에서 비롯되었다.[6][5] 시구르드 흐링그는 하랄드 힐디톤의 조카로, 란드베르의 아들로 추정된다.[6] 하랄드 힐디톤이 늙자 시구르드 흐링그에게 스웨덴베스테르예틀란드의 통치권을 넘겨주었다.[6] 시구르드 흐링그와 하랄드 힐디톤은 모두 스웨덴과 덴마크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했으며, 이들의 갈등은 결국 브라벨리르(브로발라) 전투라는 대규모 전투로 이어졌다.[6][5]

4. 2. 전투의 진행

여러 사가에서 브라벨리르 전투의 진행 과정을 묘사하고 있지만, 그 내용은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시구르드 흐링그가 하랄드 힐디톤을 죽이고 승리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 발다르가 죽은 후, 그의 아들 란드베르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고 하랄드 힐디톤이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 하랄드는 조부 이바르 비드파드미가 다스렸던 땅을 모두 정복했다. 란드베르가 죽자 그의 아들 시구르드 흐링그가 스비아인의 왕이 되었는데, 하랄드에게 칭신하는 종속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구르드 흐링그와 하랄드 힐디톤은 외스테르예틀란드의 벌판에서 브라벨리르 전투를 벌였고, 이 전투에서 하랄드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죽었다.
  • '''고대의 어떤 왕들에 대한 사가''': 시구르드 흐링그는 하랄드 힐디톤의 조카이다. 하랄드 힐디톤이 늙어 노쇠하자 시구르드 흐링그에게 스웨덴베스테르예틀란드를 다스리라고 넘겨주었다.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삼촌을 죽이고 덴마크 왕위까지 손에 넣었다.
  • '''삭소 그라마티쿠스데인인의 사적 제7권''': 시구르드 흐링그는 데인인의 왕 란드베르의 아들이었고 데인인의 왕 하랄드 힐디톤의 모계 조카였다. 시구르드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외삼촌 하랄드에게 승리했고 데인인의 왕이 되었다.
  • '''헤르보르의 사가''': 덴마크의 종속 왕 발다르가 죽자 그의 아들 란드베르가 덴마크의 왕이 되었고, 그의 형 하랄드 와르토스는 예탈란드의 왕위 칭호를 얻었다. 이후 하랄드는 그의 외할아버지 이바르 비드파미가 한때 통치했던 모든 영토를 복속시켰다. 란드베르가 잉글랜드에서 전투 중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시구르드 링이 하랄드의 부왕으로 추정되는 덴마크의 왕이 되었다. 시구르드 링과 하랄드는 브라벨리르 전투(브로발라)에서 외스테르예틀란드 평원에서 싸웠고, 그 전투에서 하랄드와 그의 많은 부하들이 죽었다.[5]
  • '''Sögubrot af nokkrum fornkonungum''': 링(시구르드라는 이름은 언급되지 않음)은 덴마크 왕 하랄드 와르투스의 아버지 쪽 조카이다. 하랄드 와르투스는 늙음을 느끼기 시작했고, 링을 웁플란드의 왕으로 임명하여 스웨덴베스테르예틀란드를 통치하게 했다. 하랄드가 150세라는 놀라운 나이에 이르자, 그는 왕처럼 전투에서 죽기를 원했고, 따라서 링에게 그를 들판에서 만나 싸우자고 도전했다. 링은 스웨덴, 베스테르예틀란드, 노르웨이에서 병력을 모아 육로와 해로로 콜모르덴 숲 아래 브로비켄 만 근처의 브라벨리르 평원으로 군대를 이끌었다. 그곳에서 그는 하랄드의 다민족 군대와 마주했고, 거대한 브로발리르 전투가 벌어졌다. 결국 링은 절박한 싸움에서 그의 삼촌을 때려 죽였다.[6]
  • '''데인인의 사적''(7권): 링그는 스웨덴 왕 잉얄드의 아들이자 덴마크 왕 하랄드 와르토스의 외조카였다. 링그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하랄드 와르토스와 함께 싸웠고 덴마크의 지배자가 되었다.[11]
  • '''흐베르수 노레그르 비그그디스트''': 시구르드 링그는 란드베르의 아들이자 하랄드 와르토스의 이복형제이다.[3]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사가''': 시구르드 링그와 하랄드 와르토스가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싸웠고 하랄드가 전사했다.[15]
  • '''보사 사가 오크 헤라우드''':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버지인 시구르드 링그가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하랄드 와르토스와 싸웠고 하랄드가 죽었다.[17]
  • '''레트렌세 연대기''': 하랄드 와르토스는 지중해까지 모든 나라로부터 공물을 받았다. 그러나 그가 스웨덴에 공물을 요구하러 갔을 때 스웨덴 왕 링그가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그를 만났고, 하랄드는 패배하고 죽었다.[3]
  • '''그림스 사가 로딘키나와 오르바르-오드의 사가의 젊은 버전''': 하랄드 와르토스와의 브라벨리르 전투와 관련된 몇 줄에서만 시구르드 링그를 언급한다.[3]

4. 3. 전투의 결과

시구르드 흐링그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승리하여 덴마크스웨덴을 통합하고 강력한 왕국을 건설했다.[5][6] 이 전투에서 시구르드 흐링그는 그의 삼촌이자 덴마크 왕인 하랄드 와르투스를 상대로 싸워 승리했으며, 하랄드 와르투스는 전투에서 사망했다.[6] 시구르드 흐링그는 덴마크의 통치자가 된 후, 스카니아의 지휘관으로 야를을 임명하고, 방패처녀를 덴마크의 통치자로 만들었다.[6]

이 사건은 스칸디나비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겨지며, 이후 바이킹 시대의 전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시구르드 흐링그의 통치와 유산

시구르드 흐링그는 브라벨리르 전투에서 승리하여 스웨덴과 덴마크를 통합하고 강력한 왕국을 세웠다. 확장된 올라프 트리그바손 사가에 따르면, 레이당르를 소집하여 노섬브리아를 침공, 잉야르드 왕과 그의 아들 우베를 죽이고 잉글랜드 영토를 되찾았다.[8] 그는 노섬브리아에 올라프 킨릭손을 조공 왕으로 삼았다. 이후 올라프는 유틀란트의 부왕으로 임명되어 시구르드 흐링그와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섬겼고, 그의 후손들이 유틀란트를 다스렸다.[8]

시구르드 흐링그의 통치 기간 동안 스칸디나비아는 안정과 번영을 누렸으며, 이는 이후 바이킹 시대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5. 1.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의 관계

스쿌둥 일족의 사가와 쉴둥가 사가에 따르면 시구르드 흐링그는 알프헤임의 알프 왕의 딸 알프힐드와 결혼하여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낳았다.[10] 알프힐드가 죽은 후, 시구르드는 벤델 왕 알프의 딸 알프솔과 결혼하려 했으나, 알프솔의 오라비들이 반대하여 그들과 싸워 이겼지만 알프솔 또한 오라비들에게 독살당해 결국 결혼하지 못했다.[10]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는 아버지 시구르드 흐링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8] 그는 에위스테인 벨리를 스웨덴의 종속왕으로 임명했으나, 에위스테인은 훗날 라그나르의 아들들에게 살해당한다.[8]

5. 2. 시구르드 흐링그의 유산

스쿌둥 일족의 사가와 ''쉴둥가 사가''에 따르면, 시구르드 흐링그는 알프헤임의 알프 왕의 딸 알프힐드와 결혼하여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낳았다. 알프힐드가 죽은 후, 시구르드는 벤델의 왕 알프의 딸 알프솔과 결혼하려 했으나, 알프솔의 오라비들이 반대했다. 시구르드는 그들과 싸워 이겼지만 알프솔은 오라비들에게 독살당했다. 시구르드는 알프솔 남매의 시신을 큰 배에 실어 불태워 바다로 보냈다.[10]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고, 에위스테인 벨리를 스웨덴의 종속왕으로 삼았다. 에위스테인은 훗날 라그나르의 아들들에게 살해당했다.

올라프 트리그바손 사가에 따르면, 시구르드 링그는 하랄드 와르투스와 이바르 비드파므네가 통치했던 잉글랜드 영토를 되찾기 위해 레이당르를 소집하여 노섬브리아를 침공했다. 잉야르드 왕과 그의 아들 우베는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다. 링그는 노섬브리아를 종속시키고 올라프 킨릭손을 조공 왕으로 삼았다. 이후 올라프는 패배하여 유틀란트의 부왕으로 임명되었으며, 링그와 라그나르 로드브로크를 섬겼다. 그의 후손들도 유틀란트를 통치했다.[8]

6. 족보

시구르드 흐링그의 가계는 여러 사가에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사가아버지어머니할아버지할머니외할아버지외할머니비고
헤르보르의 사가란드베르이바르란드베르는 잉글랜드에서 전사[5]
사가브로트란드베르라드바르드아우드이바르란드베르는 하랄드 와르투스의 어머니 오드 딥마인디드의 남편[6]
데인인의 사적잉얄드하랄드 와르투스의 여동생잉얄드는 하랄드의 여동생을 강간함[11]
흐베르수 노레그르 비그그디스트란드베르라드바르드흐레레크 슬뢍반바우기란드베르와 하랄드 와르토스는 이복형제[3]



대체로 시구르드 흐링그는 란드베르의 아들이자 하랄드 와르토스의 조카 또는 외손자로 묘사된다.

7. 평가 및 해석

시구르드 흐링그의 전설은 812년 헴밍 왕 사후 벌어진 덴마크 왕위 쟁탈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19] 헴밍의 형제 또는 사촌인 시그프리두스와 이전 국왕 하랄드의 조카 또는 손자인 아눌로 사이에 내전이 일어났다. 왕위 계승을 위한 전투에서 두 사람 모두 사망했다.[19] 중세 문헌에서는 시그프리드와 시구르드의 이름이 자주 혼동되었다. 아눌로의 이름은 원래 고대 노르드어 Ánleifr 또는 Áli를 나타낼 수 있지만, 중세 스칸디나비아 연대기 작가들은 이를 반지를 의미하는 라틴어 "annulus"로 오해했다.[20] 브레멘의 아담의 연대기(c. 1075)에서 9세기 역사적 사건에 대한 지식을 얻은 삭소 그라마티쿠스와 일부 다른 중세 왕 목록 편집자들은 시그프리드/시구르드와 아눌로/링의 이름을 하나의 인물로 결합했다. 그들의 역사적 후계자인 라그그레드 (재위 812–813)는 삭소에 의해 시구르드 링의 아들로 여겨지는 바이킹 지도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혼동된다.[21] 따라서 초기 바이킹 시대 덴마크 왕들의 목록은 부분적으로 고중세의 구성물이다.[22]

812년의 투쟁이 시구르드 링과 하랄드 와르투스의 조카가 싸운 전설적인 브라벨리르 전투에 반영되었다는 설이 있다.[23] 다른 학자들은 통치자의 원래 이름이 링이었고, 그는 스웨덴의 역사적인 왕이었으며, 8세기에 덴마크 또는 동예테 군대와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했다.[24] 또 다른 사람들은 그 전투를 신화적이거나 순전히 전설적인 것으로 간주한다.[25] 현대 스웨덴 역사가들은 고중세 사가 문헌의 정보로부터 연대기를 확립하는 것에 회의적이며, 시구르드 링 또는 브라벨리르 전투의 가능한 역사성에 대한 논의를 거부하는 편이다.[26]

링이라는 이름은 바이킹 시대의 스웨덴 왕실 씨족에 나타나는데, 브레멘의 아담의 교회 연대기(c. 1075)는 10세기 전반에 스웨덴의 링이라는 통치자가 그 이름을 사용했다고 언급한다.[27]

참조

[1] 문서 Lejrekroniken, Gesta Danorum, Saga of Orvar-Odd 1925
[2] 서적 Nordisk mytologi: Från A till Ö https://books.google[...] Svenska Historiska Media Förlag 2017-03-06
[3] 문서 1925
[4] 웹사이트 The Real Ragnar Lothbrok https://www.historic[...]
[5] 문서 1965
[6] 문서 1925
[7] 문서 1925
[8] 문서 Saga Ólafs
[9] 문서 1988
[10] 문서 1925
[11] 문서 1905
[12] 문서 1905
[13] 문서 1905
[14] 문서 1925
[15] 문서 Ragnars Saga Lodbrokar http://www.turbidwat[...]
[16] 웹사이트 Fornaldarsögur Norðurlanda http://www.germanicm[...]
[17] 문서 1925
[18] 웹사이트 Fornaldarsögur Norðurlanda http://www.germanicm[...]
[19] 문서 1862
[20] 문서 1877
[21] 문서 1877
[22] 문서 1977
[23] 문서 1862
[24] 문서 1925
[25] 문서 Reallexikon 1999
[26] 문서 2002
[27] 문서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